레비나스, 힘과 기원(4) <힘과 기원>의 두 번째 강연(1949년 2월 3일)을 읽는다. pp. 133-154에 해당된다. 두 번으로 나눠 읽는다. 첫 날의 강연이 "기술에서 실존으로"를 거의 그대로 취했다면, 두 번째 강연의 전반부(지금 읽는 부분)는 <존재에서 존재자들>, 그리고 <시간과 타자>의 주제, 존재에서 존재자로의 운동, 레.. 레비나스 2011.05.04
레비나스, 힘과 기원(3) 어떻게 하이데거를 읽을 것인가? 어떻게 하이데거를 이해할 것인가? "우리가 그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어떤 개념들을 가지고 하이데거와 논의하고자 하면, 하이데거는 그것들이 아직 자신의 사유의 빛 안에서 검토된 것이 아니라는 이유로 사유가 결여된 것이라고 비난한다ㅡ새로운 관점.. 레비나스 2011.04.24
레비나스, 힘과 기원(2) 레비나스 전집 2권에 "힘과 기원"의 일부(pp. 111-120)이다. 이 글은 앞서도 말한 것처럼 <후설과 하이데거와 더불어 실존을 발견하면서> 안에 실려있는 논문 "기술에서 실존으로"(De la description à l'existence)(pp.91-107)와 거의 같은 내용을 구성한다. 이 글은 레비나스의 현상학과의 거리를 .. 레비나스 2011.04.16
레비나스, 힘과 기원(1) 후설의 현상학, 하이데거의 근본적인 존재론, 또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 그리고 사르트르의 실존철학으로부터 레비나스는 길어내는 새로운 실존철학의 가능성은 무엇인가? 철학사 안에 전적인 새로움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다시 말해 항상 새로움은 이미 말해진 것으로부터, 그것이 .. 레비나스 2011.04.11
레비나스, 철학과 각성(3) 이어지는 4절로부터 레비나스는 본격적으로 후설로부터 자신의 철학의 가능성을 개진한다. 아래에서 읽을 4절의 처음 부분은 앙리를 읽으면서(주체성과 철학 (3)) 이미 한 번 읽은 것이다. 다시 읽는다. 4. 데카르트적 성찰 6절과 9절에서 환원된 의식 위에서 반성의 필증적인 이성성은 더 이상 직관이 채.. 레비나스 2011.03.19
레비나스, 철학과 각성(2) 2. 헤겔의 철학은 오늘날 철학의 위기 이전에 우주의 질서와 역사적 사건의 질서를 표현하고 그것을 지각하는 언어에 대해서 말하는 철학의 이러한 과잉으로 나타난다. 철학은 이 경우 더 이상 어떤 것에 대한 열림이 아니라, 담론의 내적인 규칙, 즉 담론의 로고스의 논리일 것이다. 주체와 이 주체에 .. 레비나스 2011.02.16
레비나스, 철학과 각성(1) 1976년 한 학회에서 발표된 레비나스의 글 "철학과 각성(La Philosophie et l'éveil)"(Entre nous에 실려있음)은 다른 글1974년에 한 잡지에 실린 "후설로부터 의식에서 경계심으로(De la conscience à la veille à partir de Husserl)"(De Dieu qui vient à l'idée에 실려있음)은 특히 후설의 현상학의 초월론적 환원을 그 중심 주제.. 레비나스 2011.02.08
레비나스, 비-지향적 의식(2) 3. La mauvaise conscience et l'inexorable l'inexorable, 이 말은 "기도에도 저항하는, 굽힐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la mauvaise conscience, 이 말은 서양 철학의 자기의 존재를 유지하고 하는 건전한, 긍정적인, 능동적인 la bonne conscience에 반한 것으로, 부정적이고, 비관적이고, 의심이 많은 불행한 의식을 말한다. 3장은.. 레비나스 2010.12.29
레비나스, 비-지향적 의식(1) 레비나스의 "비-지향적 의식"은 1983년 베른에서 발표된 글로 <우리 사이>에 실려있는 글이다. 레비나스의 후설에 대한 거의 모든 글들이 지향성과 환원에 대한 글이듯이 레비나스의 현상학과의 관계는 후설의 현상학의 방법론과 긴밀한 연결을 가진다. 레비나스가 유일하게 현상학에서 그 진정한 .. 레비나스 2010.12.29
해석학과 너머(10) <해석학과 너머>의 5장 나머지 단락들(5개)이다. 레비나스의 "세속주의 sécularisation"가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부분이다. 75-76년 솔본느 강의록인 <신, 죽음, 그리고 시간> 중에 76년 2월 6일과(초월성, 우상, 세속화) 13일(동기호테, 현혹(ensorcellement), 배고픔) 강의를 참조할 수 있다. 그의 건전한 의.. 레비나스 2010.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