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 qui est étrange, c'est que la passivité n'est jamais assez passive : c'est en cela qu'on peut parler d'un infini; peut-être seulement parce qu'elle se dérobe à toute formulation, mais il semble qu'il y ait en elle comme une exigence qui l'appellerait à toujours en venir en deçà d'elle-même - non pas passivité, mais exigence de la passivité, mouvement du passé vers l'indépassable.
이상한 것은 수동성은 절대로 충분히 수동적이지 않다는 것, 절대로 충족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바로 여기서 우리는 어떤 무한에 대해서 말할 수 있다. 아마도 수동성은 모든 공식을 회피하기 때문일 것이다. 또 그 안에서 그것이 그것 이전으로부터 도래해야 한다는 어떤 요구와 같은 것이 있다. 수동성이 아니라, 수동성의 요구, 극복할 수 없는 것으로 향하는 과거의 운동이 있는 것 같다.
◆ 거부le refus는 제 1 단계의 수동성이라고 말한다 - 그런데 그것이 자유롭고 의지적이라면, 그것이 어떤 결정을 표현한다면, 그 결정은 부정적일 것인데, 그 때, 그것은 여전히 의식의 힘과 단절하지 않으며, 거부하는 자아는 여전히 남아있다. 사실 거부는 절대로, 일종의 무조건적인 것으로 향한다 : 필경사 바틀비의 굽힐 수 없는l'inexorable "je préférerais ne pas (le faire)", "하지 않는 것이 낫겠다"는 결정이 일어난 적이 없는 부재abstention를 민감하게 만드는 것은 바로 이 거부의 매듭이다. 이 부재는 모든 결정을 앞서며, 부인 이상이며, 차라리 아무 것도 말하지 않는 (전혀 발설되지 않은, 전혀 밝혀지지 않은) - 말하기의 권위 - 의 포기이다. 혹은 자아의 버림처럼 받은 희생, 동일성의 저버림, 거부 안에서 경련을 일으키지 않는 자기의 거부, 그런데 파탄, 존재의 상실, 사유로의 열림."Je ne le ferai pas", "그것을 하지 않겠다"는 여전히 힘을 가진 결정, 힘적 모순을 의미한다. "je préférais ne pas..."는 변증적 발명에 전혀 잡히지 않는 인내의 무한에 속한다. 우리는 존재 밖으로, 밖으로 떨어진다. 여기서 움직이지 않는, 아주 느리고 같은 걸음pas으로 걷는 파괴된 인간들이 오고 간다.
- "c'est le noeud du refus que rend sensible l'inexorable "je préférais ne pas (le faire) de Bartleby l'écrivain, une abstention qui n'a pas eu à être décidée, qui précède toute décision et qui est plus qu'une dénégation, mais plutôt une abdication, la renoncement (jamais prononcée, jamais éclairée) à rien dire - l'autorité d'un dire - ou encore l'abnégation reçue comme l'abandon du moi, le délaissement de l'identité, le refus de soi qui ne se crispe pas sur le refus, mais ouvre à la défaillance, à la perte d'être, à la pensée", c'est-à-dire au désastre.
"pas", à la fois négation et trace et mouvement de la marche, 부정이면서 동시에 걸음의 흔적과 운동을 지시하는 pas.
◆ La passivité est sans mesure : c'est qu'elle déborde l'être, l'être à bout d'être - passivité d'un passé révolu qui n'a jamais été: le désastre entendu, sous-entendu non pas comme un événement du passé, mais comme passé immémorial (Le très-Haut) qui revient en dispersant par le retour le temps présent où il serait vécu comme revenant.
수동성은 측정할 수 없는 것이다. 수동성은 존재의 한계를 넘어서기 때문에, 존재가 존재의 한계에 이르기 때문이다 - 한 번도 존재했던 적이 없는 지나간 과거의 수동성 : 이해된, 전제된, 과거의 사건으로서가 아니라, 기억할 수 없는 과거로서, 회귀에 의해, 현재의 시간을 분산하면서 돌아온다. 여기서 그것은 돌아오는 것, 유령으로 체험될 것이다.
'블랑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난의 글쓰기(16) (0) | 2012.02.13 |
---|---|
재난의 글쓰기(15) (0) | 2012.02.12 |
재난의 글쓰기(13) (0) | 2012.02.08 |
재난의 글쓰기(12) (0) | 2012.02.08 |
재난의 글쓰기(11) (0) | 2012.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