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랑쇼의 작, le pas au-delà (1973)는 소설도, 이야기도, 시도, 철학적 논문도 아닌, 단편들로, 이어짐이 없이 이어지는 단편들의 모음이다. 그의 후기 저작들에서 보이는 단편적인 글쓰기는 이 작품으로부터 시작했다. 그의 최초의 단편적 글쓰기, 이전의 글쓰기 스타일과의 단절이 시작되는 지점에 있는 작품이다. 거의 읽기가 불가능해 보이는 단편들. 부서진 것들을 붙이려하는 순간 우리는 블랑쇼의 글쓰기 리듬을 배반하게 된다. 단편들을 그대로 따라가다보면 우리는 '미궁labylinthe'에서 헤매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블랑쇼 읽기의 가장 정직한 순간이다. '넘어감이 없이 넘어가는 이 걸음le pas au-delà'은 "미궁과 같은 공간 안에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마치 미궁처럼 처신한다. 그 걸음은 미궁의 구조를 가진다."(Derrida, Parages, 37). 가까이 오는 걸음은 멀어지고, 자신을 부정하고 자신을 거부하는 이 같은 걸음으로 인해, 자신이 가진 거리를 줄이면서 동시에 연다. 'le pas au-delà'의 le pas는 이중적 기입 없이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때 부정의 부사로서 le 'pas'(not)는 명사로서 'pas'(step) 걸음이 넘어서야 할 그 경계를 넘어섬이 없이 넘어가는 도약의 그 운동 한 가운데 존재한다. 'le pas', 그것은 글쓰기이고, 죽음이다. 가까이 오면서 멀어지는, 넘어가면서 넘어서지 못하는, 쓰면서 지워지는, 'pas' 안에 기입된 'pas', 'pas의 pas', 이것은 이중의 부정도, 변증도 아니다. 그것은 도달함이 없이 끊임없이 접근하는, 넘어감이 없이 무한히 넘어가는 걸음의 '불가능성'에 대한, '사이entre-temps'에 대한 기술이다.
'블랑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백할 수 없는, 공동체, (0) | 2016.03.03 |
---|---|
안셈 키퍼, 폴 슬랑에게, 잿꽃 (0) | 2016.02.23 |
글쓰기, 단편적인 것, (0) | 2015.09.03 |
단편의 요구 (0) | 2015.08.01 |
침묵과 글쓰기 (0) | 2015.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