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학과 너머(8)
- 앞 장의 마지막 구절은 "말하기의 초월성 transcendance du dire à atrui, 타자에서 말하기의 초월성"으로 끝났던 것을 우리는 기억한다.
On peut certes ramener le langage à une téléologie de être en invoquant la nécessité de communiquer pour mieux réussir dans les entreprises humaines. on peut s’intéresser, dès lors, au dit, à ses divers genres et à leurs diverses structures, et explorer la naissance du sens communicable dans les mots et les moyens de le communiquer le plus sûrement et le plus efficacement. on peut ainsi rattacher encore le langage au monde et à l’être auxquels les entreprises humaines se réfèrent, et ainsi rattacher le langage à l’intentionnalité. Rien ne s’oppose à cette interprétation positiviste.
우리는 소통의 필요성을 빌어서 언어의 존재이유를 인간적 기도를 성공적으로 잘 이끌기 위한 목적론적 관점으로 이끌 수 있다. 이 때에 우리는 말해진 것(진술)의 다양한 유형과 그것의 다양한 구조에 관심을 가질수 있다. 그리고 말들 안에서 소통되어질 수 있는 의미의 탄생과 가장 확실하고 가장 효과적인 소통의 방법을 탐구할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언어를 세계와 인간의 기도들이 관계하는 존재에 연결할수 있으며, 언어를 지향성과 관계시킬 수 있다. 아무 것도 이러한 실증적인 해석에 반대하지 않는다.
Et l’analyse du langage à partir du dit est une œuvre respectable, considérable et difficile. Il n’en reste pas moins que la relation même du dire est irréductible à l’intentionnalité ou qu’elle repose, à proprement parler, sur une intentionnalité qui échoue. Elle s’établit, en effet, avec l’autre homme dont l’intériorité monadique échappe à mon regard et à mon emprise.
그리고 말해진 것의 언어적 분석은 존경할만한 것이고 중요하며, 어려운 작업이다. 그런데 말하기의 관계 그 자체는 지향성에 환원 불가능하거나 혹은 실패한 지향성에 의존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말하기의 관계는 나의 시선과 나의 지배를 벗어나는 모나드적 내재성을 가진 다른 인간과 더불어 세워지기 때문이다.
Mais cette déficience de la re-présentation tourne en relation d’ordre supérieur; ou plus exactement en une relation où pointe seulement la signification même du supérieur et d’un autre ordre. L’ "apprésentation" husserlienne qui n’arrive pas à la satisfaction, à l’accomplissement intuitif de la re-présentation s’inverse – expérience manquée - en un au-delà de l’expérience, en une transcendance, dont la rigoureuse détermination se décrit par les attitudes et les exigences éthiques, par la responsabilité dont le langage est l’une des modalités.
재-현시(표상)의 이러한 결핍은 최상급의 질서와의 관계로, 혹은 더 정확하게 말하면, 최상급의 그리고 어떤 다른 질서의 의미작용 그 자체만을 지시하는 어떤 관계로 돌아선다. 재-현시(표상)의 만족과, 그것의 진관적인 완수에 이르지 못하는 후설의 간접현시는 경험의 너머로, 초월성으로 전향하며, 그것의 엄격한 규정은 윤리적인 태도와 요구에 의해 그리고 책임에 의해서 기술된다. 그리고 언어는 이 책임의 여러 양태들 중의 하나이다.
La proximité du prochain, au lieu de passer pour une limitation du Moi par autrui ou pour une aspiration à l’unité encore à faire, se fait désir se nourrissant de ses faims ou, pour user d’un mot usé, amour, plus précieux à l’âme que la pleine possession de soi par soi.
이웃의 근접성은 타인에 의한 나의 제한으로 혹은 이뤄야할 단일성의 영감으로 이해되는 대신에, 그의 배고픈이를 먹이고자 하는 데에서 행해진다. 혹은 닳고 닳은 단어인, 자기에 의한 자기의 충만한 소유보다 더 소중한 사랑으로 이해된다.
(두 번째 단락) Transfiguration incompréhensible dans un ordre où toute signification sensée remonte à l’apparition du monde, c’est-à-dire à l’identification du Même, c’est-à-dire à l’Etre ou rationalité nouvelle – à moins qu’elle ne soit la plus ancienne, antérieure à celle qui coïncide avec la possibilité du monde – et qui, par conséquent, ne se ramène pas à l’ontologie. Rationalité différente – ou plus profonde – et qui ne se laisse pas entraîner dans l’aventure que courut, d’Aristote à Heidegger, la théologie demeurée pensée de l’Identité et de l’Etre et qui fut mortelle au Dieu et à l’homme de la Bible ou à leurs homonymes. Mortelle à l’Un, à en croire Nietzsche, mortelle à l’autre selon l’ anti-humanisme contemporain. Mortelle aux homonymes, en tout cas. Toutes pensée qui ne conduirait pas à installer un identique –un être – dans le repos absolu de la terre sous la voûte du ciel serait subjective, malheur de la conscience malheureuse.
모든 건전한(의미있는) 의미작용이 세계의 나타남으로, 다시 말하면 동일자의 동일화로, 다시 말해 존재 혹은 새로운 이성성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질서 안에서 - 적어도 여기서 말하는 이성성이 세계의 가능성과 일치하는 그러한 이성성보다 더 오래되고 그것에 앞선 것이 아니라면 - 이해 불가능한 이러한 변형은 결과적으로 존재론으로 환원되지 않는다. 다른 이성성 - 혹은 보다 심오한 이성성 - 은 아리스토텔레스에서 하이데거까지 이어진 동일성과 존재의 사유에 머무는 (존재) 신학을 쫓는 모험과 얽히지 않는다. 이러한 모험과 연루되는 이성성은 성경의 신에게, 그리고 인간에게 죽음일 것이며, 혹은 그것들에 동의어들에게 죽음일 것이다. 일자에게, 그것에 대해 니체가 믿었던 것에게 죽음일 것이며, 현대의 반-휴머니즘의 질서를 따르면, 타자의 죽음일 것이다. 어쨌든 그것과 동의어인 모든 것들의 죽음일 것이다. 동일한 것 - 한 존재자 - 를 천궁 아래 대지의 절대적인 휴식 안에 놓지 않는 모든 사유는 주관적이고, 불행한 의식의 불행일 것이다.
- "le repos absolu de la terre sous la boûte du ciel", 이 구절은 레비나스의 세계성, 이성성, 이것들에 근거한 초월성, 객관성에 대한 비판에서, 반대로 그가 말하는 초월성과 새로운, 다른 이성성에 대한 주장에서 자주 반복되는 구절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서 하이데거에 이르는 존재-신학적 전통 하에서 드러나는 신적인 것, 초월성은 항상 존재와 세계와 연루된다. 이러한 존재-신학적 모험은 레비나스 말하는 새로운 이성성, 새로운 변형, 새로운 초월성, 신과 인간, 그것의 동의어들, 일자, 타자의 죽음일 것이다. 존경할만한 서양철학의 전통에서 보면 이러한 주장은 단지 주관적이고 불행한 의식의 불행으로 보일 것이다.